[앵커멘트]
충북도가 추진 중인 '일하는 밥퍼' 사업이
생산적 노인 복지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들에게
소일거리를 제공하고,
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는 점에서
타 지자체들도 벤치마킹에 나섰는데요.
그러나 일부에서는 지급 수당 상향 등
개선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
유소라 기자입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[ 장소CG /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 ]
청주의 한 무료 급식소.
이른 아침부터 모인 어르신들이
분주한 손길로 공산품을 조립합니다.
충북도가 운영하는 '일하는 밥퍼' 사업장입니다.
[ 신귀순(92) / 사업 참여 어르신 : (이거 안 했으면) 그냥 놀았을 건데 여기 사장님이 이런 걸 시켜주니까 얼마나 좋아. 말도 못하게 좋아, 일 하는 게. ]
[ 어르신에 소일거리 제공...온누리상품권 지급 ]
'일하는 밥퍼'는 경제적 자립이 필요한
어르신들에게 소일거리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.
어르신들은 하루 3시간가량
단순 조립 작업이나 농산물 전처리 작업을 하고,
도와 후원금, 일을 맡긴 업체가 주는
1만5천 원어치 온누리상품권을 받습니다.
[ 김재만(75) / 사업 참여 어르신 : 온누리 상품권을 받으면 이제 보통 저 같은 경우는 전통시장 가서 이렇게 한 바퀴 돌아요. 운동 겸 해서 이제 돌면서 반찬거리도 사고... ]
[ 하루 평균 500명 참여...충북도 "두 배로 확대" ]
지난해 시범사업으로 시작해 현재는 46개 작업장에서
하루 평균 500여 명의 어르신이 참여하는데,
누적 참여 인원만 1만 2천여 명에 이릅니다.
도는 올해부터 참여 인원을 두 배 늘리기로 했습니다.
장기적으로는 지역 내 기업들과 협력해
하루 1만 명까지 참여할 수 있는
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.
호응이 커지면서 다른 지역에서도 벤치마킹에 나섰습니다.
[ 김영환 / 충북지사(지난달 30일) : 이미 서울시가 이 문제에 관심을 보이고 공무원을 파견하고 있는 상황에 있습니다. 일하는 밥퍼 사업의 전국 확산은 고령화 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과제입니다. ]
다만, 일부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
[ 최저 임금 미달 논란 여전...개선책 마련 필요 ]
시간당 일하고 받는 대가가
올해 1만 원을 넘긴 최저임금 기준에
미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.
도는 이와 관련해 장기적으로
수당을 상향 조정하거나,
별도의 복지 혜택을 추가하는 등
다각도로 개선책을 검토하겠는 입장입니다.
서울시에 이어 경북도까지
본격적인 벤치마킹에 나서면서
주목받고 있는 '일하는 밥퍼'.
어르신들에게 활력을 주는
새로운 복지 모델의 확장성과
지속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.
HCN뉴스 유소라입니다. (영상취재 박강래)